단백질 4

인슐린은 에너지 저장 호르몬이다.

식사 행동 역시 호르몬이 조절한다. 그 과정을 이해하려면 먼저 우리가 먹은 음식이 어떻게 처리되는지부터 알아야 한다. 다양한 뇌 신호(배고픔, 보상,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으로 우리는 칼로리가 잔뜩 든 여러 음식물(지방, 단백질, 탄수화물, 섬유질 및 미량영양소 등의 복합체)을 섭취한다. 그것으로 성장에 필요한 근육이나 뼈를 형성하고 에너지를 만들어낸다. 이들 음식은 위에 도달하는데, 위는 복부에 있는 야구 글러브 크기의 근육 주머니다. 위는 염산을 분비해 음식을 더 작은 조각으로 나눈다. 이를 "소화시킨다."고 한다. 잘게 나뉜 음식은 위 다음에 있는 소장이라고 부르는 소화관으로 이동한다. 예컨대 식이지방은 지방산으로 소화되고, 식이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탄수화물은 단당류(대부분은 포도당이며 달콘한 과..

단백질은 혈관의 노화를 막고 나트륨의 배설을 촉진한다.

과거에는 고혈압을 "예방이 불가능한 질환"으로 여겼다. 물론 지금은 식습관만 바로잡아도 고혈압을 막거나 개선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염분 섭취를 줄이는 것도 그런 노력의 하나다. 그런데 좀 더 적극적으로 고혈압을 예방하려면 식사에서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쥐를 이용한 실험에서도 단백질을 많이 섭취한 쥐는 혈압이 잘 오르지 않아 뇌졸중이 발생하는 일이 적고 오래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고혈압 환자가 많고 뇌졸중 발생 빈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단백질을 적게 섭취하는 것으로 밝혀졌다.단백질이 고혈압과 뇌졸중 예방에 도움이 되는 이유는 두 가지다.첫째는 단백질이 혈관을 튼튼하게 하기 때문이다. 인체를 구성하는 세포의 주성분은 단백질이다. 혈관의 세포도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다. 단백질을 충..

당뇨환자가 고칼로리의 지방을 매일 계획적으로 섭취한다.

지방 식품은 거의 대부분이 고칼로리이다.게다가 1일 지시 단위도 극히 소량이다. 1일 식단에서 어떻게 이용할 것인지 계획적으로 생각할 필요가 있다.  1. 지방 식품은 고칼로리가 대부분이다. 지방은 매우 칼로리가 높은 식품이다. 탄수화물과 단백질은 1g당 4kcal의 에너지를 내지만 지방은 9kcal나 된다. 예를 들어 식빵에 버터를 듬뿍 바르면, 그것만으로 이미 1일 지시 단위가 되어 버린다. 대부분의 당뇨병 환자는 지방의 1일 지시 단위가 1단위로 정해져 있다. 만일 식빵에 버터를 듬북 바르면 샐러드 드레싱이나 기름에 볶은 요리도 전혀 먹을 수 없게 되므로, 1일 식사 메뉴의 폭도 그만큼 좁아진다. 1단위의 지방을 하루에 어떻게 섭취할 것인지를 계획적으로 생각해서 사용할 필요가 있다.  2. 무심코 ..

당뇨환자는 식품 교환표를 잘 활용하자.

당뇨병의 식이요법을 정확히 실시하기 위해서는 식품 교환표를 잘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당뇨병 치료의 기본인 식이요법의 지식들을 정확히 이해해야한다.  1. 정해진 1일 총에너지량을 확인한다. 정해진 칼로리의 수치는 환자의 주치의가 지시하는 것이다. 이 숫자가 각각의 환자에게 "적정한 1일 총에너지량"이며, 앞으로 시작할 식이요법의 기초가 되는 것이므로 정확히 확인해 두자. 2. 지시 에너지량을 단위로 바꾼다. 의사가 지시하는 에너지량은 "천 몇 백 kcal"가 되는데, 영양사가 식사 지시를 하는 경우 "80kcal=1단위"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1,200kcal인 경우는 15단위가 되는데, 이때 100kcal로 하지않고 80kcal를 1단위로 한 것은 일상적으로 주로 먹는 식품의 칼로리를 계산(단위 ..